728x90

nano 나 vi 편집기 사용 시 위 사진 처럼 한글이 깨지는 경우가 있다.   필자는 구글링 해서 export LANG=~~~~~~ 적용도 해보고, /etc/sysconfig/i18n 설정하래서 봤는데, 없었고.. 이것저것 해봤는데 안되더라

의외로 단순한 문제였는데.. 또 시간낭비를 ㅜㅜ  xshell에서 인코딩을 Korean 으로 변경하면 간단히 해결된다.

입력시에는 깨짐 증상이 발견됨... 해결되면,,, 업데이트 할 예정;;;;;;;

'IT > 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RedHat 8.3 네트워크 끊김 증상 (해결)  (0) 2021.02.25
RedHat 8.3 firewalld 허용 아이피 등록  (0) 2021.02.24
CentOS7 Tomcat 서비스 등록하기  (0) 2021.01.06
CentOS 7 톰캣 설치  (0) 2021.01.06
sftp 설정  (0) 2020.12.21
728x90

RedHat 8.3 trial 버전으로 Lab 구성 후 ssh 설정까지 끝냈는데....

자꾸 ssh 접속 후 끊기는 증상이 확인 되었다.   

한번 접속 성공 후 error(Socket error Event: 32 Error: 10053) 를 내보내며 끊기는 더불어 ping 도 안나간다;;

이것 저것 찾아보다가 결국 해결한 방법은 아래와 같다.

해당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up 시켜주는 명령어를 통해 바로 해결;;; 반나절을 날려버린 이 어이없는 증상...

오늘도 기초 설정에서 시간 날려먹은 듯...;;;  어여 진도 나가자...;;;

* 참고로 RedHat trial 버전에서 yum은 안된다고 한다;;; 그래서 필요한 소프트웨어는 .tar.gz이나 .rpm을 다운받은 후 수동으로 설치해야 한다.

'IT > 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Xshell 리눅스 한글 깨짐 증상 해결 방안.  (0) 2021.03.10
RedHat 8.3 firewalld 허용 아이피 등록  (0) 2021.02.24
CentOS7 Tomcat 서비스 등록하기  (0) 2021.01.06
CentOS 7 톰캣 설치  (0) 2021.01.06
sftp 설정  (0) 2020.12.21
728x90

개인적으로 공유기 - 서버에 접속하기 위해 ssh 를 시도하였는데, 접속이 안되었다.

리눅스에 있는 기본 적용된 방화벽인 firewalld 를 stop 시키면 바로 되는 부분을 확인한 후 구글링을 통해 해당 아이피를 등록 후 정상적으로 ssh 접속이 됨을 확인 하였다.

1) 비 정상적인 등록 : #firewall-cmd --permanent --zone=public --add-source=192.168.1.0/24 --add-port=22/tcp

          위 처럼 등록 시 에러가 뜰 것이다. 이에 찾은 방법은 아래와 같다.

2) 정상적으로 등록된 명령어 : #firewall-cmd --permanent  --add-source=192.168.0.1/24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#firewall-cmd --permanent --zone=public  --add-port=22/tcp  --> ssh 포트 등록

firewall 명령어 사용 시 --add-source 와 --add-port 명령어를 동시에 사용할 경우 오류가 발생한다.  필자의 경우 RedHat 8.3 버전에서 확인한 내용이므로, 버전에 따라 다를 수도 있다.

여전히 별 거 아닌 문제로 인해, 머리를 계속 맨땅에 박고 있는 나날을 보내고 있는 듯 하다;;;

 

'IT > 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Xshell 리눅스 한글 깨짐 증상 해결 방안.  (0) 2021.03.10
RedHat 8.3 네트워크 끊김 증상 (해결)  (0) 2021.02.25
CentOS7 Tomcat 서비스 등록하기  (0) 2021.01.06
CentOS 7 톰캣 설치  (0) 2021.01.06
sftp 설정  (0) 2020.12.21
728x90

1. # nano /etc/systemd/system/tomcat.service 생성

서비스들은 서비스이름.service 파일명을 가지며, systemctl 명령어로 제어할 수 있다.

2. 아래 서비스 파일에 톰캣 서버 경로 등록

Environment="톰 캣 경 로"   --> " " 기호 꼭 있어야 작동 함.

ExecStart= / ExecStop =  부분은 톰캣 설치된 위치 기입 

 

3. 정상적으로 서비스 작동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.

( # systemctl status tomcat / # systemctl start tomcat / # systemctl stop tomcat )

* 참고 사이트 : 출처: https://haenny.tistory.com/141 [Haenny]

'IT > 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RedHat 8.3 네트워크 끊김 증상 (해결)  (0) 2021.02.25
RedHat 8.3 firewalld 허용 아이피 등록  (0) 2021.02.24
CentOS 7 톰캣 설치  (0) 2021.01.06
sftp 설정  (0) 2020.12.21
Linux IPTABLES 세팅  (0) 2020.12.03

+ Recent posts